나름분류해서써보기173 yum clean all root@s2:/root/_se># yum clean all Cleaning up Everything 2 headers removed 2 packages removed 9 metadata files removed 0 cache files removed 3 cache files removed 2015. 11. 10. yum list | grep lrzsz 서버와 파일을 주고 받을때 FTP를 사용하기 도하지만, 한두개의 파일을 업/다운로드 할때는 보통 zmodem과 관련된 lrzsz 패키지의 sz와 rz를 이용하여 주고받곤 한다. 서버에서 PC로 파일을 전송 받고자 할때는 "sz 파일이름" PC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 하고자 할때는 "rz"받는 쪽에서 할 명령 $ rz --tcp-server connect with lrz --tcp-client "comjuck.com:1291" 이렇게 접속할 수 있는 주소와 포트가 나옵니다. 그럼 보내는 쪽에서 $ sz --tcp-client comjuck.com:1291 [filenames to send] 하면 zmodem을 이용해서 tcp를 통해 파일을 보낼 수있다.(물론 양 머신다 lrzsz 패키지가 깔려 있다는 가정.. 2015. 11. 10. mkfs -t ext3 -b 1024 /dev/sdc1 리눅스 블럭사이즈 조정 해당 영역을 마운트 해제후 진행 root@N01:/>#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ext3 124G 2.7G 115G 3% / /dev/sdb1 ext3 133G 188M 126G 1% /da1 /dev/sdc1 ext3 133G 188M 126G 1% /da2 /dev/sda1 ext3 289M 16M 259M 6% /boot tmpfs tmpfs 4.0G 0 4.0G 0% /dev/shm root@N01:/># mkfs -t ext3 -b 1024 /dev/sdc1 mke2fs 1.39 (29-May-2006) /dev/sdc1 is mounted; will not make a filesy.. 2015. 11. 10. 1024KB 4096KB 1024KB인 경우에는 블럭이 작은 만큼 4096KB보다 하드의 낭비가 적다. 1023KB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기본 블럭사이즈가 1024KB일 때는 1K 공간이 사용되지만, 4096KB 가 기본 블럭이라면 4K를 차지하게 된다. 하지만 아주 작은 파일들이 많은 경우 해당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데는1024KB가 4096KB보다 더 걸리게 되므로 퍼포먼스가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신이 이용하는 시스템의 특성과 용도에 맞게 블럭 사이즈를 지정해서 사용하면 된다. 2015. 11. 10.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