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에 기술팀에서 근무하면서 적었던 글이다 ㅎㅎ
그때는 시스템hang은 왜 걸리는지 엄청 궁금했었음 ㅎㅎ 기술팀에서 근무했던게 개발자로 일하면서 매우 도움이 되고있다.. 여튼.. 시스템 로그보면서 정리했던 글을 옮긴다...
1) 부족한 리소스
- 하드디스크, 메모리 부족현상
-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나 메모리를 시스템에서 사용하게 될 때 모든 공간을 할당해 사용하는게 아니라
리소스가 부족하게 되면 다운되는 것을 알고 미리 여분의 공간을 따로 두고 나머지를 이용해 운영한다.
- HDD의 경우 100%가 사용중이라고 나와도 다운되지 않은 것은 여분의 공간을 따로 두고 나머지를 이용해 운영하기 때문이다.
- 메모리의 경우 page단위(리눅스 4K)로 관리 되는데, 리눅스 시스템에서 장한 freepages.min 단위까지 내려가게 되면 시스템은 메모리 반환을 위해 swapping을 하게 된다.
스와핑이 되는 속도 보다 리소스 사용량이 많으면 시스템은 다운된다.
대부분의 32비트 아키텍쳐는 페이지 크기가 4KB 이고, 64비트 아키텍쳐는 8KB 이다.
따라서 페이지 크기가 4K 이고 물 리적 메모리가 1G이면 물리적 메모리는 1024*1024*4개의 독립된 페이지로 나뉜다.
2) 파일 시스템 에러
- 각 파일마다 아이노드라는 값을 주어 구분을 하는데 파일을 지우고 쓰고 생성 복사 하는 도중에 동일한 inode를 갖는 파일이 생성 될 수도 있고 inode가 잘못된 값을 갖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 경우 rm 으로 지워도 파티션 용량이 줄지 않고 그대로인 것을 알 수 있다.
- fsck를 이용해 파일시스템을 체크하면 오류 수정이 가능하다.
root@lhr:/root/Log># df -ih
Filesystem Inodes IUsed IFree IUse% Mounted on
/dev/sda3 8.0M 7.8 M 7.9M 98% /
/dev/sda1 75K 40 75K 1% /boot
none 219K 1 219K 1% /dev/shm
데이터 용으로 사용할 시스템이라고 하면 아이노드 값을 늘려주어야 한다.
df로 파일시스템 size를 체크했음에도 불구하고 파일이 써지지 않는다면 아이노드가 full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파일이 써지지않는건 파일시스템이 read only 상태로 빠져있거나, 아이노드full , df size full 인 경우)
3) 하드웨어
- IDE : 2년 , SISC : 3년
4) 랜 카드 불량
- ifconfg에서 에러나 컬리젼값을 본다. 컬리전이 많다는 것은 랜카드에서 처리하는 패킷이 충돌 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이 처리 할 수 있는 능력치를 벗어났을 경우나,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처리 능력이 떨여저 랜카드가 보내는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이 되지 못할 때 발생하게 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ace는 시스템 콜과 시그널을 추적 (0) | 2015.11.10 |
---|---|
vsftpd 특정 사용자에 대해 상위디렉터리 제한 (0) | 2015.11.10 |
SetEnvIf User-Agent "Opera/9.63" badUA , client denied by server configuration (0) | 2015.11.10 |
Cping Cpong-Apache Tomcat connector (0) | 2015.11.10 |
리눅스 파일사이즈 체크하는 쉘스크립트 (0) | 2015.11.10 |